IPv4 루프백 주소 127.0.0.1 에 대한 설정
IPv4에서는 루프백(loopback) 주소가 127.0.0.0/8 주소블럭에 속한 127.0.0.1입니다.
NOTE!: IPv4 루프백 주소
IPv4 프로토콜의 원래 정의에는 루프백 주소가 존재하지 않음
후에 BSD Unix에서 루프백 주소로 127.0.0.1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루프백 주소 개념 발생
127.0.0.0/8은 A Class 주소에 속하므로 당시 Class 개념에 따라 127.0.0.0/8 A Class가 전체
루프백 주소 블록으로 예약됨.
IPv4의 DNS 네임서버에서 IPv4 루프백 주소에 대한 역변환 도메인(reverse domain)을 기본적으로
설정합니다.
127.0.0.1 주소는 127.0.0.0/8 주소블럭 전체에 대한 역변환 도메인을 설정하고, 그 안에
127.0.0.1 주소에 대한 설정을 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원칙적으로 127.0.0.0/8에 대한 역변환 도메인을 설정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이 경우, "127.in-addr.arpa." 도메인을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named.conf" 파일의 "127.in-addr.arpa." 존 설정 부분 |
zone "127.in-addr.arpa" { type master; file "named.ipv4.local"; }; |
"127.in-addr.arpa." 도메인 존 파일 |
$ORIGIN 127.in-addr.arpa.$TTL 1D@ 86400 IN SOA localhost. adm.localhost. ( 2001061401 ; serial 28800 ; refresh (8 hours) 7200 ; retry (2 hours) 604800 ; expire (1 week) 86400 ; minimum (1 day) ) IN NS localhost. 1.0.0 IN PTR localhost. |
그러나 127.0.0.0/8 주소블럭 중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주소는 127.0.0.1이 유일한 주소이므로
편의상 "0.0.127.in-addr.arpa." 도메인, 또는 "1.0.0.127.in-addr.arpa." 도메인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아래는 "0.0.127.in-addr.arpa." 도메인으로 설정한 경우입니다.
"named.conf" 파일의 "0.0.127.in-addr.arpa." 존 설정 부분 |
zone "0.0.127.in-addr.arpa" { type master; file "named.ipv4.local"; }; |
"0.0.127.in-addr.arpa." 도메인 존 파일 |
$ORIGIN 0.0.127.in-addr.arpa.$TTL 1D@ 86400 IN SOA localhost. adm.localhost. ( 2001061401 ; serial 28800 ; refresh (8 hours) 7200 ; retry (2 hours) 604800 ; expire (1 week) 86400 ; minimum (1 day) ) IN NS localhost.1 IN PTR localhost. |
"1.0.0.127.in-addr.arpa."에 대한 도메인 네임을 "localhost."로 지정합니다.
IPv6 루프백 주소 ::1 에 대한 설정
IPv6 주소체계에서는 루프백(loopback) 주소를 IPv6 프로토콜 규격에서 명시적으로
정의하였습니다.
IPv6에서 루프백(loopback) 주소는 ::1/128입니다.
여기에서 '/128'은 주소 블록이 아닌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 주소
하나만을 루프백(loopback) 주소로 정의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IPv6 루프백 주소 "::1"에 대한 역변환용 도메인은 "::1/128"로 정의한 규정에
적합하게 아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ip6.arpa."
"named.conf" 파일의 "0.0.127.in-addr.arpa." 존 설정 부분 |
zone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ip6.arpa." { type master; file "named.ipv6.local"; };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ip6.arpa." 도메인 존 파일 |
$ORIGIN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ip6.arpa.$TTL 1D@ 86400 IN SOA localhost. adm.localhost. ( 2001061401 ; serial 28800 ; refresh (8 hours) 7200 ; retry (2 hours) 604800 ; expire (1 week) 86400 ; minimum (1 day) ) IN NS localhost. IN PTR localhost. |
NOTE!:"::2", "::3" 등은 루프백 주소에 포함되지 않음
IPv6의 루프백 주소는 "::1"에 한정 정의
"::2", "::3" 등등은 루프백 주소와 관련이 없음
따라서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ip6.arpa."와 같이 존을
설정한 경우, "::/124"의 IPv6 주소블럭에 대한 설정이 되므로 "::2", "::3" 등의 주소까지
포괄하는 역변환 도메인을 설정하는 결과가 되어버림
"localhost." 도메인 존 설정
루프백 주소와 관련하여 "localhost." 존(zone)을 네임서버마다 기본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IPv4 환경에서 "localhost."는 아래와 같은 기본적인 내용으로 작성되고 있었습니다.
"named.conf" 파일의 "localhost." 존 설정 부분 |
zone "localhost" { type master; file "localhost"; }; |
"localhost." 도메인 존 파일 |
$ORIGIN localhost.$TTL 1D@ 86400 IN SOA localhost. adm.localhost. ( 2001061401 ; serial 28800 ; refresh (8 hours) 7200 ; retry (2 hours) 604800 ; expire (1 week) 86400 ; minimum (1 day) ) IN NS localhost. IN A 127.0.0.1 |
IPv6 환경에서는 "localhost." 도메인 존 파일을 아래와 같이 AAAA RR을 추가하여 작성합니다.
"localhost." 도메인 존 파일 |
$ORIGIN localhost.$TTL 1D@ 86400 IN SOA localhost. adm.localhost. ( 2001061401 ; serial 28800 ; refresh (8 hours) 7200 ; retry (2 hours) 604800 ; expire (1 week) 86400 ; minimum (1 day) ) IN NS localhost. IN A 127.0.0.1 IN AAAA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