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러리
프로그래밍언어, 각종코드, 관련동향, 논문 등의 저장소
Technology/DNSv6 (27)
IPv6 주소를 위한 AAAA RR은 어떻게 정의되었나요?
IPv6 지원 확장 : AAAA 리소스레코드(Resource Record)
IPv4 주소를 위한 리소스레코드(Resource Record)는A RR입니다.
A RR : hostAddress RR(Resource Record)
IPv6 주소의 경우, 128bit로 표현되는 주소로써 IPv4 주소와는 다른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IPv6 주소를 위한 리소스레코드(Resource Record)는AAAA RR로 신규 정의되었습니다.
AAAA RR : IPv6 Address RR(Resource Record)
AAAA RR은 "Quad-A RR"이라고 읽습니다.
이런 명칭이 부여된 것은 IPv6 주소는 128bit의 주소 공간을 사용하고 이는 IPv4 주소(32bit)에
비해 4배 큰 것이므로 A를 4번 사용한 명칭인 'AAAA'를 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래는 IETF RFC 문서의 A RR과 AAAA RR 포맷의 예시입니다.
NAMETTLCLASSTYPEDLENGTHRDATA
ftp.examp.co.kr.1800INA4192.0.2.100
ftp.examp.co.kr.1800INAAAA162001:cd5:f::c000:264
Ref Docs:
A RR :RFC1035 "Domain Names - Implementation and Specification"
AAAA RR :RFC3596 "DNS Extensions to Support IP Version 6"
AAAA RR은 A RR보다 12 bytes를 더 사용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상의 DNS 응답 메시지에서 AAAA RR이 포함됨으로써 DNS 메시지 길이가
전반적으로 길어지게 됩니다.
이는 루트 네임서버의 경우,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루트 네임서버의 IPv6 적용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NOTE!: 리소스레코드(Resource Record)는 바이너리 형태의 포맷을 가짐
존 파일(Zone File)은 바이너리 형태의 리소스레코드 정보를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텍스트 기반의 양식을 정의한 것임. 네임서버는 존 파일(Zone File)을 읽으면서 구문에 따라
해석을 하여 바이너리 형태의 리소스레코드를 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함.
따라서 A RR과 AAAA RR은 메모리 상에서, 그리고 패킷 상에서 바이너리 IP 주소로 표현됨.

(Ref Docs:RFC1035 "Domain Names - Implementation and Specification")
위의 예시에 대한 존 파일(Zone File)에서의 표현은 아래와 같습니다.
"examp.co.kr." 도메인 존의 존 파일(Zone File)
$ORIGIN  examp.co.kr.
ftp          1800  IN  A         192.0.2.100
ftp          1800  IN  AAAA   2001:cd5:f::c000:264
 
  Comments,     Trackbacks
IPv6 주소의 역변환 도메인 IP6.ARPA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IPv6 지원 확장 : IP6.ARPA 도메인
IPv4 주소를 사용하여 이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DNS에 해당 IPv4 주소에 대한 도메인네임 정보를 질의함으로써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도메인이 "in-addr.arpa" 도메인입니다.
예를 들어 "192.0.2.100" 주소에 대해 그 도메인네임을 파악하려는 경우,
아래와 같이 DNS 질의를 수행합니다.
"192.0.2.100" IPv4 주소에 대한 도메인네임 질의
QName

100.2.0.192.in-addr.arpa.

질의 도메인네임

QType

PTR

질의 타입 (리소스레코드 타입)

QClass

IN

질의 Class

위와 같이 IPv4 주소를 역변환 배열하고(192.0.2.100 -> 100.2.0.192), 그 뒤에 "in-addr.arpa."를
덛붙여 DNS 질의를 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IPv6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
IPv6의 경우에는 IPv4의 "in-addr.arpa."에 해당하는 도메인을 "ip6.arpa."로 정하였습니다.
IPv6 주소 "2001:cd5:f::c000:264"에 대한 도메인네임을 역변환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식을 통해 "ip6.arpa."에 속하는 도메인네임을 생성하여 DNS 질의를 합니다.
1. "2001:cd5:f::c000:264" -> "2001:0cd5:000f:0000:0000:0000:c000:0264"
압축 표현된 IPv6 주소를 원래 미압축 상태의 전체 IPv6 주소 표현으로 전환하고
2. -> "2.0.0.1.0.c.d.5.0.0.0.f.0.0.0.0.0.0.0.0.0.0.0.0.c.0.0.0.0.2.6.4"
각 4bit의 16진수(nibble)를 점(.)으로 구분 표시
3. -> "4.6.2.0.0.0.0.c.0.0.0.0.0.0.0.0.0.0.0.0.f.0.0.0.5.d.c.0.1.0.0.2"
전체 순서를 역전하여 표기
4. -> "4.6.2.0.0.0.0.c.0.0.0.0.0.0.0.0.0.0.0.0.f.0.0.0.5.d.c.0.1.0.0.2.ip6.arpa."
끝에 "ip6.arpa." 도메인 추가
"2001:cd5:f::c000:264" IPv6 주소에 대한 도메인네임 질의
QName4.6.2.0.0.0.0.c.0.0.0.0.0.0.0.0.0.0.0.0.f.0.0.0.5.d.c.0.1.0.0.2.ip6.arpa.
QTypePTR
QClassIN
위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수작업으로 준비하여 DNS 질의를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IPv6 주소에 대한 역변환 질의(reverse query)는 주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생합니다. e-메일 서버와 같은 경우, 접속하는 대상 호스트의 IPv6 주소를 대상으로
DNS 역변환 질의를 위와 같이 수행합니다.
IPv6 주소에 대한 도메인네임 역변환 질의(reverse query)를 점검하려는 경우, 다음과 같이
BIND DNS의 유틸리티인 dig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ig을 사용한 "2001:cd5:f::c000:264" 주소의 도메인네임 역변환 질의 방법
dig -n -x 2001:cd5:f::c000:264

※ 단, dig이 BIND DNS 9.2.3 버전 이상에 포함된 dig이어야 함.
     이전 버전은 ip6.int. 도메인에 대해 질의 수행.

-n옵션은nibble 형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며,
-x옵션은 뒤의 문자열이 IP 주소이며, 이 IP 주소에 대한 도메인네임 역변환 질의 수행을 지시
NOTE: nslookup을 사용하여 IPv6 주소 역변환 질의(reverse query)를 하는 방법
nslookup -n -x 2001:cd5:f::c000:264
단, 이 경우에도 nslookup이 BIND DNS 9.2.3 버전이상에 포함된 nslookup 사용 필요
  Comments,     Trackbacks
DNSv6 개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v6와 DNS
 

현재 인터넷의 기반 프로토콜인 IP는 'version 4'이다. IPv4는 version 4의 IP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IPv4는 초기 연구망에서, 1990년대 상업망으로 발전하였다. 이제는 중요한 기간 통신망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IPv4는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IPv4에서 가능한 IP 주소공간이 조만간 고갈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기 인터넷과 달리 상업적 사이트의 증가로 보안문제가 대두되었다.

IPv6는 version 6의 새로운 IP 프로토콜이다. IPv6는 우선 IPv4에 비해 막대한 수의 IP 주소를 제공할 수 있는 주소공간을 제공한다. 이외에 IPv4 프로토콜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하고, 보안기능을 강화하여 상업적 인터넷 성격에 적합한 프로토콜로 개발되었다.

IPv6는 IPv4와 호환되지 않는다. 현재의 IPv4 인터넷과 IPv6 인터넷은 상호 병존하는 시기를 거쳐 최종에 순수한 IPv6 인터넷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DNS는 IPv4 인터넷에서 개발되었다. IPv6 인터넷이 새로운 IPv6용 DNS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IPv6 인터넷에서 TCP와 UDP 프로토콜은 그대로 사용된다. IP 프로토콜 스택(stack)이 IPv4와 IPv6로 2개의 스택(dual stack)이 존재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존 DNS 프로토콜의 기본 구조에 변경되는 사항은 없다.
다만 아래와 같은 사항이 추가 확장 정의되었다.
1. IPv6 주소를 위한 AAAA RR ('Quad A' Resource Record)
2. IPv6 주소 역변환 도메인(Reverse Domain) 'ip6.arpa.'

따라서 DNS는 기존 IPv4 인터넷과 IPv6 인터넷 모두를 지원하는 형태로 ‘확장’되었다.

도메인 네임은 IPv4 인터넷과 IPv6 인터넷 모두에서 동일하다.
DNS는 현 IPv4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도메인 네임이 IPv6 인터넷에서도 동일한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DNSv6?
 

DNSv6는 IPv6를 지원하는 DNS이다.

"DNSv6 네임서버"는 기존 IPv4 인터넷의 DNS와 구별하여 IPv6를 지원하는 DNS 네임서버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다.

DNSv6 네임서버는 아래의 조건을 충족하는 네임서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네트워크 환경이 IPv6 지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네임서버 플랫폼과 OS가 IPv6를 지원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DNS SW가 IPv6 패킷의 DNS 질의를 처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DNS SW가 AAAA RR 등 IPv6 확장기능 구현

AAAA RR ('Quad A' Resource Record)
IPv6 주소를 위한 리소스레코드로 AAAA RR이 정의되었다.
아래는 A RR과 AAAA RR의 포맷이다.

 
Domain NameTTLCLASSTYPERDLengthResource Data
www.nic.or.kr.1800INA4202.30.50.90
www.nic.or.kr.1800INAAAA162001:dc5:a::100
 

위와 같이 하나의 도메인 네임이 IPv4 주소와 IPv6 주소를 동시에 가질 수 있게 된다.
도메인 네임은 IPv4 인터넷과 IPv6 인터넷 상에서 언제나 동일하게 유지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DNSv6와 어플리케이션
 

IPv6 통신을 위해서 호스트의 통신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
어플리케이션에서는 IPv6 기반 통신방식을 구현해야 한다.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소켓(socket)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가 ‘확장’ 정의되었다. (RFC3493, 'Basic Socket Interface Extensions for IPv6')

이와 더불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도메인네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호출하는 함수가 새롭게 정의되었다. (RFC3493)

"IPv6 어플리케이션"은 IPv6 확장 소켓(socket) API와 도메인네임 리졸루션 함수 getaddrinfo()를 사용하여 IPv4 및 IPv6 통신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IPv6 통신전용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IPv6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v4 주소와 IPv6 주소 모두를 파악한다. 이때 IP 주소 파악을 위한 표준 함수 getaddrinfo()를 호출한다. getaddrinfo() 함수는 DNS 질의를 통해 도메인 네임에 설정된 IP 주소를 파악한다. DNS 질의는 AAAA RR과 A RR에 대한 질의가 된다.

getaddrinof() 함수는 응답된 DNS 메시지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IPv4 주소와 IPv6 주소 목록을 리턴한다. IPv6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IPv4 또는 IPv6 주소를 선택하여 소켓(socket) 함수를 호출, 접속을 개시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DNS는 IPv4 및 IPv6 인터넷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IP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Pv6 도입과 DNSv6
IPv4 인터넷에서 일순간에 IPv6 인터넷으로 전환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장기간에 걸쳐 IPv4 인터넷과 IPv6 인터넷이 공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웹 서비스, 전자메일 서비스, FTP 서비스 등은 모두 장기간 IPv4 인터넷과 IPv6 인터넷 모두에서 단절 없이 제공되어야 한다.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은 IPv4 인터넷과 IPv6 인터넷 모두에 대해 지원 가능해야 한다. DNSv6는 IPv4와 IPv6의 공존 인터넷 환경에서 IPv4 인터넷 서비스와 IPv6 인터넷 서비스가 단절 없이 도메인네임을 통한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IPv4 인터넷 서비스 영역과 IPv6 인터넷 서비스 영역을 이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IPv6 응용 서비스의 본격적인 도입이전에 먼저 DNSv6 체계의 안정적인 구성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KRDNSv6의 DNSv6 기술정보 제공
KRDNSv6 시범망 웹 사이트는 한국 DNSv6의 조기 안정적 구성 지원을 위해 DNSv6 관련 기술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향후 지속적으로 DNSv6 관련 표준화 기술정보, 구축/운영 및 관리 관련 정보를 총괄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IPv6 응용 서비스의 시범적 운영에서 발생할 수 있는 DNS 관련 문제점을 사전에 분석, 점검하여 IPv6 인터넷의 본격적 도입을 준비할 계획이다.

2004년 연말에는 축적된 정보를 편집하여 'DNSv6 운영 가이드'를 제작 배포할 예정이다.

  Comments,     Trackbacks
DNS와 DNSv6는 무엇이 다른가요?
DNSv6는 IPv6를 지원하는 DNS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IPv6를 지원하는 DNS가 따로 존재하여 현재의 DNS를 대체하는 것은 아닙니다.
현 DNS가 IPv6 인터넷도 지원할 수 있도록 확장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Pv6를 지원하기 위해 DNS 체계와 관련된 확장 요소들이 아래와 같이 존재합니다.
구분확장 요소
DNS 표준AAAA RR(Resource Record) 추가
IP6.ARPA. 도메인 정의
DNS 네임서버 SW
DNS 리졸버 SW
IPv6 스택(stack) 추가 지원 
DNS 도메인 위임IPv6 주소의 IPv6 DNS 네임서버 지정 위임 추가
DNS는 독립된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라 다른 인터넷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특수한
기반 인프라 성격의 어플리케이션입니다.
DNSv6를 구성하는 것은 단지 DNS 네임서버 등에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DNS의 확장은 DNS 네임서버와 단말 호스트의 리졸루션(resolution) 환경을 포괄하며,
더 나아가 단말 호스트의 스터브 리졸버(stub resolver)와 응용 어플리케이션간의
도메인 네임 리졸루션(resolution)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변경이
발생하게 됩니다.
아래는 DNSv6와 관련된 API 확장 요소입니다.
구분확장 요소
Socket API 관련 functionsIP 주소변환용 getaddrinfo() 신규 함수
IP 주소의 도메인네임 변환용 getnameinfo() 신규 함수
IPv4, IPv6 주소선택 알고리듬어플리케이션에서 DNS 질의결과 얻은 IPv4, IPv6 주소 중 우선순위 선택 알고리듬
DNSv6는 IPv6를 지원하는 DNS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DNS(Domain Name System)는 단순히 네임서버 시스템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도메인네임,
네임서버, 그리고 단말 호스트의 리졸버(resolver) 루틴을 포괄하는 도메인네임 시스템 체계를
지칭합니다.
따라서 DNSv6는 IPv6 인터넷의 도메인네임 체계, DNS 네임서버, 단말 호스트의
IPv6 리졸루션 환경을 포괄하여 IPv6 지원 체계를 안정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Technology > DNSv6'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 주소를 위한 AAAA RR은 어떻게 정의되었나요?  (0) 2004.07.29
IPv6 주소의 역변환 도메인 IP6.ARPA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0) 2004.07.29
DNSv6 개요  (0) 2004.07.29
DNS 개요  (0) 2004.07.29
시범망 구성도  (0) 2004.07.29
DNSv6란?  (0) 2004.07.29
  Comments,     Trackbacks
DNS 개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DNS 등장 배경
 

1960년대 말 등장한 미국 ARPANET이 인터넷의 기원이다.
ARPAnet은 미국의 주요 연구기관을 연결한 광역 컴퓨터망으로써 미국 국방부의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가 투자하여 개발하였다.

TCP/IP 프로토콜은 1980년대 초에 이르러 개발되었다.
IP는 'Inetnet Protocol'의 약자로서 산재한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상호 연동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 TCP/IP는 하나의 통합 프로토콜 스택으로 개발되었으나 나중에 TCP와 IP로 분리되었다. 아직도 IP 프로토콜 군을 TCP/IP라 부르고 있는 것은 초기의 명칭에 연유한다.)
TCP/IP 프로토콜은 빠른 속도로 ARPANET에서 컴퓨터 네트워킹의 표준 프로토콜이 되었다.

이 당시만 해도 DNS는 존재하지 않았다.

버클리 대학의 BSD Unix에 TCP/IP 프로토콜이 탑재되면서 ARPANET에 연결된 호스트 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당시 BSD Unix는 거의 무료로 대학에 배포되고 있었다.
ARPANET에 연결된 호스트들은 기관 내부의 LAN에 연결되었으며 이 LAN에는 상당한 수의 호스트가 설치되었다.

1974년 기준 ARPANET은 50Kbps의 X.25 백본 네트워크로 총 23개의 호스트만이 존재하고 있었다.
ARPANET에 연결된 호스트는 1981년에는 213개, 1983년에는 562개, 1984년에는 1024개, 1985년에는 1961개, 1986년 2308개, 1987년 28174개로 기하급수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렇듯 TCP/IP를 기반으로 형성된 지역 및 광역 네트워크를 인터넷(Internet)이라 부르게 되었다.

TCP/IP 표준 프로토콜의 등장과 BSD Unix의 TCP/IP 지원으로 인한 호스트 증가는 새로운 문제를 낳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호스트의 네임을 어떻게 구성, 관리할 것인가의 문제였다.

초기 ARPANET 환경에서는 각 호스트의 주소를 모두 외울 수 있었다. 호스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니모닉(mnemonic)을 호스트별로 부여하여 쉽게 기억할 수 있게 하였다. 니모닉 네임(mnemonic name)과 네트워크 주소의 매핑 테이블이 사용되었다. 호스트마다 설정하는 호스트 네임(host name)은 여기서부터 유래하였다.

1981년 ARPANET의 호스트들은 213개에 달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 각 호스트들은 HOSTS.TXT 파일에 ARPANET의 모든 호스트 네임과 네트워크 주소 테이블 정보를 갖고 있었다.

이 HOSTS.TXT 파일은 각 호스트에서 지정된 SRI NIC의 FTP 서버(SRI-NIC)에서 주기적으로 다운받아 업데이트를 하는 방식으로 관리되었다. Unix 계열 호스트에서 볼 수 있는 /etc/hosts 파일은 이 HOSTS.TXT에서 연유한 것이다. (RFC 952, "DOD INTERNET HOST TABLE SPECIFICATION")

호스트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HOSTS.TXT 파일로 모든 호스트 정보를 관리하는 것은 점차 불가능하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DNS의 역할
 

HOSTS.TXT 기반 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HOSTS.TXT 파일을 중심으로 한 관리체계는 ARPANET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에 의한 일관성 있는 관리가 가능했다.
그러나 호스트 수가 급증하면서 HOSTS.TXT의 다운로드 트래픽과 시스템 부하로 인한 HOSTS.TXT 업그레이드 절차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HOSTS.TXT 파일에 대한 로컬 호스트 내에서의 수정과 정보 변경에 의해 네임의 일관성 유지가 힘들었다.
급증한 호스트들 가운데 IP 주소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호스트가 발생하여 모든 호스트의 HOSTS.TXT 정보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DNS(Domain Name System)은 위와 같은 HOSTS.TXT 체계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네임체계이다.

1984년 USC Information Sciences Institute의 Paul Mockapetris에 의해 DNS(Domain Name System)가 제시되었다. (RFC882 & RFC 883, 이후에 이 2개의 RFC는 각각 RFC1034 & RFC1035로 개정)

DNS(Domain Name System)의 가장 본질적인 특징은 ‘분산구조의 데이터베이스(distributed database)’이라는 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DNS 구성
 

DNS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분산구조 데이터베이스이다.

분산구조 데이터베이스라는 것은 각 도메인 네임 영역(Zone)별로 독자적으로 관리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KR 도메인 영역의 경우, 한국의 도메인 관리기관이 전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KR 도메인을 등록받은 각 기업은 자신의 도메인 영역(Zone) 내의 정보를 독자적으로 관리한다.

DNS는 다음의 3가지 핵심요소로 구성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도메인네임 공간(Domain Name Space)과 리소스레코드(Resource Record)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네임서버(Name Servers)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리졸버(Resolvers)

[ 도메인네임 공간(Domain Name Space) ]
도메인네임은 트리(tree) 구조의 이름(naming)체계를 갖는다.
아래 그림은 루트 도메인 아래 트리 구조에 속한 .KR 도메인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메인체계의 설명은http://domain.nic.or.kr참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출처:http://domain.nic.or.kr

[ 리소스레코드(Resource Record) ]
리소스레코드는 각 도메인 네임에 대하여 특정정보 속성(attribute)을 표현한다.
아래는 "www.nic.or.kr"이라는 도메인 네임의 IPv4 주소와 Text 정보를 지정한 리소스 레코드의 예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Domain NameTTLCLASSTYPERDLengthResource Data
www.nic.or.kr.1800INA4202.30.50.90
www.nic.or.kr.1800INTXT17"KRNIC WEB SERVER"
 

도메인네임은 유일한 값을 갖는 키워드 역할을 하며, 리소스레코드는 이 키워드에 매핑된 정보를 유형별로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 네임서버(Name Servers) ]
네임서버는 도메인 트리구조 정보와 리소스레코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흔히 알고 있는 DNS 서버 또는 네임서버를 지칭한다.

[ 리졸버(Resolvers)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네임서버로부터 정보를 검색, 조회하는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이때 클라이언트란 TELNET, FTP와 같은 사용자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도메인네임 공간(Domain Name Space)과 리소스레코드(Resource Record)가 도메인 데이터베이스 구조체계를 의미한다면, 네임서버(Name Servers)와 리졸버(Resolver)는 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현방식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스터브 리졸버(Stub Resolvers) ]
단말 호스트의 경우, 리졸버(Resolver) 전체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그래서 캐슁(caching) 기능이 있는 리졸버(Resolver) 서버를 두고, 단말 호스트는 단순한 DNS 질의요청만 수행하도록 구현한다.
이때, 단말 호스트에 구현된 단순화된 리졸버(Resolver) 루틴을 스터브 리졸버(Stub Resolver)라 한다.

PC나 호스트에 기본적으로 내재된 리졸버(Resolver)는 스터브 리졸버(Resolver)의 기능을 수행한다.

[ DNS 프로토콜 ]
DNS 프로토콜은 네임서버(Nname Servers)와 리졸버(Resolver)간 DNS 질의응답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리졸버(Resolver)와 클라이언트(Client, 사용자 프로그램)간에는 프로토콜이 필요하지 않다.

DNS 프로토콜 규정은 RFC1034와 RFC1035를 참조.
RFC1034, "DOMAIN NAMES - CONCEPTS AND FACILITIES"
RFC1035, "DOMAIN NAMES - IMPLEMENTATION AND SPECIFICATION"

  Comments,     Trackbacks
시범망 구성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DNSv6 시범망 구성 개요
 

IPv6 지원 DNS를 위한 IPv4/IPv6 듀얼스택 기반의 범국가적 시범 서비스 망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DNSv6 시범망은 국내 IPv6 서비스 시범망인 KOREAv6 시범망과 IPv4 및 IPv6로 연동

 
.KR IPv6 DNS 네임서버 (.KR IPv6 Secondary DNS)
사용자 삽입 이미지
- .KR 도메인의 IPv6 지원 슬레이브 네임서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4/IPv6 듀얼스택 네임서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04년 8월 1일부터 .KR 도메인에 IPv6 네임서버 시범적용 서비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국가 도메인 체계의 IPv6 시범적 적용 단계 수행
KRDNSv6 시범망 웹 서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6 DNS 분야의 관리운영 기술정보 제공 사이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시범서비스 도메인 TEST.KR 도메인 등록, 관리 기능 제공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6 도입 시 응용 서비스와 DNSv6 간 발생가능 문제점 도출 및 관련 정보 제공
TEST.KR 네임서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국내 IPv6 응용 서비스의 시범적용 및 시험환경 지원을 위한 TEST.KR 도메인 자원 제공용 서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4/IPv6 듀얼스택 네임서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TEST.KR 도메인의 매스터 및 슬레이브 네임서버 구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시험용 도메인 TEST.KR 영역의 사용자 도메인 설정 제공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도메인 존 관리의 편이성을 위해 웹 서버와 연동, 웹 기반 도메인 존 정보 관리 기능 제공
IPv6 DNS 사전검증망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6 환경에서 DNS와 관련된 문제점을 사전 도출, 문제 분석을 위한 시험망 환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4 인터넷 및 IPv4/IPv6 듀얼스택 인터넷 환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 .KR 도메인 네임서버의 IPv6 적용 사전 검증시험 수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6 응용 어플리케이션과 DNSv6 간 문제점 사전 도출 시험 및 분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ST.KR 시범서비스
 

IPv6 응용 서비스의 시범적 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IPv6 시험전용 시범용 도메인인 TEST.KR 도메인 제공 서비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ST.KR 도메인은 일반 .KR 도메인과 같이 인터넷에서 도메인 네임으로 사용
TEST.KR 도메인은 IPv4/IPv6의 듀얼스택 DNS 네임서버로 구성되어 IPv6 응용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으로 구성

TEST.KR 도메인 신청 및 활용 절차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ST.KR 도메인 및 DNSv6 기술정보 제공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ST.KR 시범서비스 제공환경 정보

 
시스템주소비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DNSv6 웹 서버
URL
사용자 삽입 이미지
www.krdnsv6.or.kr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메인 등록, 도메인 존 관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DNSv6 기술정보 검색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v4/IPv6 접속 가능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커시브 네임서버
IPv4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2.31.190.222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말 호스트에 설정하는 네임서버 정보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단, IPv6 주소설정은 일부 OS에서 가능
IPv6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1:dc5:a::22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DNSv6 시범망의 2004년 추진 사항 소개
 

KRDNSv6 시범망은 국내 IPv6 기반 DNS 환경으로 안정적 전환을 위해 2004년 시범적용 단계 추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6 응용 서비스 시험 지원을 위한 TEST.KR 시범서비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KR 도메인 네임서버에 대한 IPv6 네임서버 추가 적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국내 DNS의 안정적 IPv6 조기 전환을 위한 기술정보 제공

[IPv6 DNS 기술정보 제공]
사용자 삽입 이미지
- KRDNSv6 시범망 웹 사이트에서 온라인 기술정보 제공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04년 하반기 ‘IPv6 DNS 운영 가이드’ 제작 배포 예정

[지향점]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6 응용 서비스의 안정적 도입 인터넷 환경 사전 구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Pv6 도입에 따른 문제점의 사전 도출 및 기술정보 제공
사용자 삽입 이미지
- DNSv6 기술의 확산 촉진, 원활한 IPv6 응용서비스 도입환경 구성 지원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chnology > DNSv6'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 주소를 위한 AAAA RR은 어떻게 정의되었나요?  (0) 2004.07.29
IPv6 주소의 역변환 도메인 IP6.ARPA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0) 2004.07.29
DNSv6 개요  (0) 2004.07.29
DNS와 DNSv6는 무엇이 다른가요?  (0) 2004.07.29
DNS 개요  (0) 2004.07.29
DNSv6란?  (0) 2004.07.29
  Comments,     Trackbacks
DNSv6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DNSv6
 

IPv6 인터넷을 위한, IPv4/IPv6 기반 국가 기간 DNS 네트워크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 한국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ccTLD) 코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DNSv6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v6 인터넷 통신 및 레졸루션을 지원하는 DNS 체계
 

KRDNSv6는 IPv6 인터넷의 도래에 대비하여 현재의 IPv4 인터넷 및 차세대 IPv6 인터넷에서 인터넷 응용 서비스가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확장 구성한 IPv6 지원 .KR 도메인 DNS서비스를 지칭한다.

KRDNSv6 시범망 구현은 (재)한국인터넷정보센터(이하 KRNIC)에서 정통부의 "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반사업"의 일환으로 구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DNSv6 시범망
 

IPv4/IPv6 기반 국가 기간 DNS 네트워크를 시범적으로 구성한 시범망

국내 IPv6 도입과정에서 .KR 도메인 네임서버의 안정적인 IPv6 DNS 체계 전환을 지원하고, IPv6 인터넷 관리자 및 사용자에 대해 DNSv6 기술 자료 및 운영 가이드를 산출 제공함으로써 IPv6의 원활한 도입을 촉진하며, IPv6 응용 서비스와 DNSv6 간 발생가능 문제점을 사전에 도출, IPv6 인터넷의 본격적인 도입을 준비하기 위한 지원활동 수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KRDNSv6 추진배경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IT389 전략‘ 중 3대 인프라 요소 중 하나인 IPv6 기반 환경 조기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

IPv6 인프라는 BcN(광대역 통합망), 홈 네트워크, 텔레매틱스 등 차세대 정보통신 환경 및 서비스의 기반 토대. 정부는 BcN(광대역 통합망), 휴대 인터넷, 홈 네트워크 등 신규 사업에 IPv6를 적용하고, RFID 및 3G 이동통신 사업과도 연계 추진 예정

정부는 2004년 IPv6 시범망 확대 구축, 2005년부터 IPv6 상용서비스 개시, 2010년 이후에는 All-IPv6 기반 서비스 제공을 계획하여 추진

KRDNSv6 시범망은 IPv6 기반 인프라 구축을 위한 7대 과제 중 “IPv6 주소자원 관리 및 IPv6 DNS 서비스 도입”의 일환으로 추진

IPv6 도입에 적극적인 국가들은 IPv6 인터넷을 위한 IPv6 DNS 체계의 재정비를 선도적 추진
한국은 일본, 프랑스 등에 이어 IPv6 DNS 체계를 선도적으로 전환 재구성 추진 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T389 전략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정보통신부]

정보통신부는 21세기 IT산업에서 일고 있는 제2의 성장 모멘텀을 국가발전의 원동력으로 승화시키고, 나아가 IT를 통해 국민생활 전반에 혁명적인 전기가 마련되는 u-Korea(지능기반사회)를 실현시키기 위해 IT839전략을 마련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최근 IT 산업은 산업간 경계가 무너지고 새로운 융합형 산업이 탄생하는 제2의 성장 모멘텀 등장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한국은 제2의 성장 모멘텀을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승화하기 위해 최첨단 IT 산업 육성이 가능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첨단 정보통신환경의 선진적 구축 추진 필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 IT389는 서비스, 인프라, 신성장 엔진의 3대 요소를 중심, IT 서비스-인프라-제조업의 연계를 통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추진 전략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세부 내용 :정보통신부 'IT839 전략' (단행본 보고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mments,     Trackbacks